대전 공공R&D 컨트롤타워 부재
타 시도에는 있지만 대전에 없는 것

대전시가 과학도시로 명명되기 시작한 것은 대덕연구단지의 출범과 맞물린다. 수십 년의 이력을 갖고 있다는 의미다. 그러나 현시점에서 바라보면 ‘과학도시 대전’의 위상이 위태롭게만 느껴진다. 대전을 터전삼은, 그래서 과학도시 대전을 상징했던 정부출연연들이 타 도시로 영역을 분산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 출연연들의 분원이 새롭게 건립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새로운 R&D사업이 전국 각 분원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과학도시 대전의 위상을 다시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보는 과학도시 대전의 현주소 진단을 통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본다. 편집자

<글싣는 순서>
1. 과학도시 대전의 오늘 - <2월 22일자 기사보기>
2. 타 시도에는 있지만 대전에 없는 것
3. 대전시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만들어야

‘과학도시 대전’은 수십 년의 세월과 노고가 빚어낸 수식이다. 유일무이를 고집할 수는 없는 노릇이지만 과학 메카로서의 위상마저 흔들린다는 것은 심각한 일이다. 이를 두고 후발주자들이 발 빠른 준비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방안을 모색·추진하는 사이 대전시는 어느 시점부터 정체돼 있다는 뼈 있는 진단도 흘러 나온다. 특히 타 도시에 비해 ‘과학도시 대전’에 없는 것이 있다고 입을 모은다. 바로 과학기술 육성과 함께 도시문제 해결 및 기술개발을 위한 공공R&D 컨트롤타워다.

실례로 대전과 도시규모가 비슷한 광주의 경우 산업계·학계·연구계가 한 곳에 모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 협력을 형성하고 있는 광주과학기술진흥원이 있다. 광주과학기술진흥원은 지방과학 연구단지 사업과 지역 혁신인력 양성사업, 광주연구개발단지 지원사업 등 지역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지역대학과 출연연 등에서 발굴·이전해 연구 성과의 사업화를 촉진시키고 기술거래 시장 활성화를 촉진시키고 있다.

대전보다 규모가 적은 울산 역시 과학기술 컨트롤타워를 지난해 설립했다. 울산시는 지난해 10월경 융·복합 과학기술분야 연구지원 거점이 될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를 개소했다.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는 IT, NT(나노기술), ET(환경기술) 융합기술분야의 연구개발 집적화 등 주력산업 구조고도화와 신성장동력산업 육성을 위한 기초 원천분야 R&D 지원 등 과학기술 컨트롤타워를 목표로 설립됐다. 서울 역시 공공R&D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가칭 ‘서울과학기술연구원’을 2018년 상반기 출범시킬 계획이다. 서울시는 서울과기원을 서울 특성에 맞는 산업고도화와 경제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과학기술육성을 전담하며 도시문제해결 및 기술개발을 위한 공공R&D 컨트롤타워로 특화시킨다는 방침이다. 타 도시 관계자들은 대전에 과학기술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대목을 의아해 하면서 꼭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과학기술 컨트롤타워는 공공R&D 사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등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혁신기반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꼭 필요한 시설”이라고 강조했다.

서지원 기자 jiwon401@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