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지방대 위기가 현실로 다가왔다. 서울에서 멀어질수록 대학 신입생 경쟁률과 졸업생 취업률이 떨어지면서 지방대 위상은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는 것이다. 출산율 저하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구조조정이 불가피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지방대 만으로 치우치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

현재의 출산율 저하 추세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로 우리나라 대학의 구조조정은 불가피한 일이 됐다. 현재대로 출생아 수가 떨어지고 대학입학정원이 유지될 경우 2040년대 초에는 50% 이상의 대학이 신입생을 채울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 중에서도 지방대 위기는 더 심각하다. 지난 2021년 기준 수도권 4년제 대학의 신입생 미충원율은 평균 5.3%였지만 비수도권 4년제 대학은 10.8%로 두 배 이상 높았다. 이런 현상은 해가 갈수록 더 심해지는 추세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이른바 ‘벚꽃엔딩’을 검증하기 위해 대학 정보공시를 활용해 서울에서 전국 대학 주소와 위도·경도를 반영한 거리를 산출한 후 거리에 따른 대학 신입생 경쟁률과 신입생 충원율, 졸업자 취업률 등을 분석했더니 사실로 드러났다. 서울지역 대학의 경쟁률은 최대 20대 1 내외였던 반면 수도권을 벗어나 충청과 대전지역에 이르면 경쟁률이 10대 1도 넘기기 어려웠다.

지방대의 현실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는 지표는 이미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지방대의 교수 연구 등 교육 연구 지표에서 수도권과 차이를 보이고 있고 졸업생 취업률 등에서도 지방과 수도권 대학의 격차가 심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지방대보단 수도권대 위주로 이뤄졌다. 아니면 적어도 지방대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됐음에도 방치했다는 지적이다. 대학 신입생 유치나 여러 가지 연구 등 대학 운영에서 수도권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음에도 이를 바로잡지 못하고 방치 내지는 조장함으로써 지방대가 소멸 위기로 치닫고 있다는 것이다.

출산율 저하와 이에 따른 학력인구 감소로 인해 대학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게 됐다. 그렇지만 조정 대상이 지방대로만 치우치게 해서는 안 된다. 수도권 대학과 균형을 맞춰 구조조정이 이뤄져야 한다.

지방대학 활성화는 단순히 대학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균형발전의 차원에서 보고 대책을 세워가야 한다. 따라서 대학의 문제를 신입생이 감소했으니 정원을 줄이라는 식의 구태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균형발전과 지방교육의 미래까지 보듬어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신입생 수도권 쏠림 현상의 부작용을 해소하고 지방대 특성화 등을 적극 추진하면서 균형에 맞는 대학구조조정이 추진돼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