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우 대전성모여고 교사

최근 지역의 국·공립 대학들이 앞다투어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는 뉴스가 자주 등장하고 있다. 지난달 칼럼에서도 다룬 바 있는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 입학 신입생 수의 급감 예상으로 인한 지역대학들의 해결책 모색의 하나로 생각한다면, 이는 그리 놀랄 이유가 없는 뉴스가 된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는 간단하게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교육부는 지난해 4월 ‘글로컬대학 30 추진 방안’을 발표하였다. 내용의 골자는 인구 감소와 산업 구조의 변화 등 현재 상황에 대학 교육의 경쟁력이 약하다고 판단하는 것, 수도권에 편중된 발전의 균형을 도모하고자 정부가 시도하는 국가 균형 발전의 중심축이 되어야 할 지역대학의 현주소가 그리 경쟁력 있다고 판단되지 않는다는 것, 이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정부의 대학 혁신을 위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느꼈다는 것 등이다. 특히 지역대학의 관심을 끄는 것은 교육부가 글로컬 대학으로 선정된 대학 1교당 총 5년간 약 1000억 원을 지원하겠다는 발표인데, 가뜩이나 신입생의 지속적인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선정된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의 격차는 매우 커질 것으로 충분히 예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통합은 왜 화두로 등장했을까?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30 추진 방안을 잘 살펴보면, ‘학교 규모가 평균 이하이거나 두 개 이상의 학교가 통합을 전제로 신청한 경우 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원 규모 조정 가능’이라는 항목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23년 11월 교육부가 발표한 2023년 글로컬 본지정 대학으로 발표된 10개 대학 중 네 곳은 두 개 학교가 함께 신청한 결과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상황을 잘 분석해 앞으로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교육적 안내를 해줄지 파악하는 그 과정에 있다. 통합을 전제로 선정을 위해 뛰어든 대학들이 보여주는 지역대학 생존에 대한 절박한 마음은 줄어드는 학령인구만큼 대학의 수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볼 수도 있다. 현재의 대학과 그 세부 전공이 갖는 위상만으로 아이에게 다가올 미래를 완전히 예측할 수 있다고 여겨서는 안 될 것이다. 그보다는 지역대학들이 어떤 비전을 가지고 교육 예산을 유치하며 이를 학생들을 위해 활용하려고 하는지 살피는 것이 효과적인 진학 전략의 첫걸음이 될 것이다.

이번 지역대학 통합을 둘러싼 다양한 반응을 통해 합격 가능한 입시성적을 기준으로 학교들을 구분하고 있는 학벌 체제가 여전히 공고하다는 것 역시 잘 나타났다. 그런데 2028학년도 대학 입학 시험부터 수능 선택과목이 사라지고, 내신 등급 구분은 9개에서 5개로 감소한다.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를 없애고 모두가 같은 과목에 응시해야 하는 상황은 앞으로의 대입 지도 전략의 큰 변화로 이어질 것이 분명하다. 지역대학의 위기감, 통합의 움직임, 대입제도의 개편 등은 학생들을 사회의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선발의 역할을 하는 학교의 전통적 기능이 변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이 가질 수 있는 불안감, 이를 바라보는 학부모들의 걱정, 지역 사회의 고민이 헛된 시간 속으로 흩어지지 않도록 우리 사회 모두가 절실하게 고민해야 할 지점이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면서 지방이 소멸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 속에 다양한 연구와 정책들이 연이어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국가 기능이 수도권에 편중된 상황 속에서 지역대학과 교육을 살리기 위한 다방면의 움직임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진정한 의미의 지역 교육 활성화는 결국 지역에 속한 우리 학생들이 배움의 즐거움을 느끼고, 진로 탐색의 구체화를 이루며 올바른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때에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앞으로도 다양한 정책과 의견 공유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